즐겨찾기 추가
회원가입 고객센터
2025.05.17 (土) 05:16
주요뉴스
 
 HOME > 뉴스 > 문화/생활 > 생활일반
소치 허련이 열 폭에 그린 소나무 '노송도' 첫 공개
등록 : 2019-11-11 15:01
국립중앙박물관 '손세기·손창근 서화전3 - 안복을 나누다'
소치 허련이 그린 '노송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추사 김정희 제자인 소치 허련(1808∼1893)이 만년에 그린 대형 소나무 그림 '노송도'(老松圖)가 최초로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2일 개막해 내년 3월 15일까지 진행하는 '손세기·손창근 기증 명품 서화전3 - 안복(眼福)을 나누다'에서 소나무 한 그루를 열 폭에 담은 노송도를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19세기 중반에는 매화 병풍이 유행했는데, 허련은 매화 대신 소나무를 그렸다. 그는 거대한 규모, 줄기 껍질과 구불거리는 가지의 역동적 표현이 특징인 회화를 남겼다.

박물관은 "눈 덮인 산속에 홀로 우뚝 서 있는 소나무 모습에서 노송의 고고한 위엄과 완숙하고 거침없는 필력을 느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호남화단의 실질적 종조(宗祖)'라고 평가되는 허련은 추사가 1856년 세상을 떠나자 고향인 전남 진도에 운림산방을 지어 작품 활동에 몰두했다.

정학교가 쓴 '행초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번 전시는 개성 출신 실업가 석포(石圃) 손세기(1903∼1983)와 그의 장남인 손창근 씨가 지난해 11월 박물관에 기증한 문화재 202건 304점을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세 번째 기획전으로, 모두 16점이 나온다. 그중 절반 이상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작품이라고 박물관은 전했다.

정학교가 유려하고 독특한 서체로 쓴 '행초 10폭 병풍', 민영익이 그린 '묵란도'(墨蘭圖), 오세창이 1938년에 전서(篆書·조형성이 강한 중국 옛 서체)로 남긴 '연경실'(硏經室) 편액, 장승업 작품인 '술에 취한 이백'(醉太白)과 '화조영모화' 등이 관람객과 만난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19세기 서화 수요층 확장과 새로운 미감에 맞춰 등장한 김정희 일파와 직업 화가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전시 제목인 '안복'은 아름다운 서화를 감상하며 느끼는 즐거움을 의미하는데, 많은 사람이 안복을 경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승업 그린 '술에 취한 이백'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psh59@yna.co.kr

출처:https://news.v.daum.net/v/20191111105414480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ys4327@hanmail.net ]
이전 위로
       
사공홍주.PNG
미리 보는 '남원 춘향제'...30일부터 7일간 '난장' 펼친다
신학대학 안 나온 전광훈, 어떻게 극우...
인류무형유산 된 한국의 장 맛보러 ‘...
'천하제일상 거상'을 국악관현악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 아트페어 개막...
"솔드아웃 연연 안 한다.....
올 가을 전국 곳곳서 비엔날레..동...
올해로 25년째..진도 토요민속여...
지향 김계진작품전
서예교육의 활성화
나스카 라인
대구경북서예상 류영희·박세호씨
'유영국, 절대와 자유 展'이
‘한국미술작가명감 출품작가 초청전...
BTS '빌보드 핫1위' ...
문체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분석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엑스엑스' 안희연(하니...
가수 하니가 2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열...
'맛남의 광장' PD &quo...
[뉴스엔 박수인 기자] 안전한 ...
'친정엄마' 대표 잠적 ...
[엑스포츠뉴스 김현정 기자] 뮤...
사공홍주 유튜브 채널 개설
issue 게시판은 아직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회원약관 고객지원센터 제휴 및 광고문의 광고안내 저작권안내 기자회원신청 기사제보 정기구독신청 다이렉트결제